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321)
free (36)
영화 (85)
드라마 (21)
게임 (28)
만화/책 (34)
개발 (46)
IT (68)
연예 (3)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TETRIS
rss
2016. 2. 5. 10:45




영화도 마찬가지겠지만, 책을 볼 때 ‘기대치’에 따라 만족도는 크게 달라진다. 큰 기대를 가지고 책을 보면 아무런 정보 없이 볼 때에 비해 만족도가 떨어지기 십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족을 주거나 기대 이상의 재미를 선사하는 책은 확실히 특별함이 있다.


책과 영화의 동시 성공으로 엄청난 기대감과 관심을 불러일으켰던 <마션>의 경우 그 ‘기대 이상’ 을 보여줬고, <오베라는 남자> 의 경우 기대했던 만큼 정도의 재미를 준 것 같다. 반면,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은 높은 기대치 때문이었는지 생각만큼 엄청난 만족을 주지는 못했다. 물론, 재미있게 볼 정도는 됐지만.

<셈을 할 줄 아는 까막눈이 여자> 는 기대치가 거의 없었다. 여러 평가들을 흩어봤을 때, 괜찮다거나 별로라는 평가들이 많고, 아주 재미있고 훌륭하다는 평가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다. 특히, 대부분의 평가에서 공통적으로 하는 얘기는 작가의 전작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보다 못하다는 것.

요나스 요나손의 전작이 약간 재미있는 정도 (평점으로 치면 7/10 정도) 였기 때문에, 그것보다 못하다면 ‘꼭 봐야하나?’ 를 고민할 시점이었다. 이런 책은 오로지 재미를 위해서 보는 책이고, 그 부분에서 만족을 주지 못하면 볼 이유가 없었으니까.

하지만, 기대치가 매우 낮았기 때문일까? <셈을 할 줄 아는 까막눈이 여자> 는 오히려 전작보다 더 재미있었다. 주인공이 바뀌었을 뿐, 스타일과 소재까지 거의 비슷하게 자기 복제를 한 소설이었고, 주인공 케릭터의 매력이 전작에 비해 훨씬 못한 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만족도는 꽤 높았다. 

두 인물의 이야기를 교차로 진행하는 초반부는 여자 주인공 쪽 스토리에 비해 남자 주인공(의 아버지) 스토리는 살짝 지루하고 무쓸모(…) 였지만, 여자 쪽 진행이 워낙 흥미진진해서 꽤 긴 분량이 술술 넘어갔다. 둘의 이야기가 합쳐진 후로도 재미와 황당함은 괜찮았는데, 후반에 이르러서는 전작에서부터 꾸준하게 이어져 온 반복된 스타일에 지치기도 하고, 마무리가 좀 늘어지는 느낌도 있었다.

냉소적이고 황당한 유머로 초반부터 강력하게 달려 나가는 소설이다보니, 그 전개의 힘을 계속 유지하는게 확실히 어려울 수 밖에 없다. 점점 더 황당해지다가는 케릭터나 스토리가 다 무너질 가능성이 있고, 계속 같은 톤을 유지하면 자극이 점점 낮아져서 지루함으로 느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런 부분을 고려하면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과 <셈을 할 줄 아는 까막눈이 여자> 모두 완급 조절을 꽤 잘 유지한 것 같다. 둘 다 마지막에 살짝 지루해지기는 해도, 두꺼운 두 소설 모두 책이 붕괴되는 일 없이 적당히 마무리 되었으니.

요나스 요나손의 다음 책까지는 일단 읽어볼 것 같다.
새로운 책은 부디 기존 자기 소설들의 자기 복제가 아닌 또 다른 참신함으로 나와주길 기대한다.

2번까지는 재미있어도, 3번은 너무하잖아?



2016. 2. 4. 12:23




제목과 표지와 책소개만 봐서는 ‘인디아나 존스’의 스릴러 버전인가 싶었으나, 소재가 책인 일반적인 추리 소설이다.

범죄/추리물로써의 이야기 진행은 평범한 수준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이 특별한 이유는 내용의 절반 이상이 책 (특히, 희귀본/초판본) 과 책을 좇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라는 점이다. 초판본의 가치가 시간이 갈수록 상승하고, 희귀본 책을 구하기 위해 사냥꾼들이 열을 올리는 상황은 우리나라에는 없는 문화 (그런데 초판본은 커녕... 아예 책을 안보잖아?…) 라서 꽤 흥미로웠다. 특히, 스티븐 킹, 존 그리샴 등 현대 작가 부터 과거 작가의 작품들까지 다양한 작가와 책들이 언급되면서 지루해질 수도 있을 진행에 계속해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주인공은 리 차일드의 '잭 리처' 같은 마초의 느낌이지만, 그러면서도 아마추어 수준을 뛰어 넘는 책 딜러이기도 하다. 이 특이한 (형사인지 책 딜러인지) 주인공 제인웨이는 이 소설 이후로도 4편의 시리즈에서 활약한다고 한다. (국내에는 2권인 '책 사냥꾼의 흔적' 까지만 번역되어 있는 것 같다. 2013년에 번역된 이후로 소식이 없는걸 보면 후속작 번역은 기대하기 어려울 듯. 게다가 참신했던 1편에 비해, 2편은 좀 평가가 떨어지는 편이기도 하다)

추리 스릴러로도 무난한 재미를 주었지만, 무엇보다 신선한 '(희귀본) 책 (거래)'에 대한 세계를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빠져들어 즐길 수 있는 소설이었다. 


2016. 1. 27. 15:51




시간 여행을 하는 연쇄 살인마 (하퍼). 그리고 그 살인마로부터 살아남은 한 소녀 (커비)의 이야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영화사 아미안웨이 프로덕션과 MRC 에서 TV 드라마로 제작중이고, 작가는 다른 소설로 아서 C.클라크 상을 수상 받기도 한 재능있는 작가라고 한다. (난 모르겠다만)

소재의 흥미로움(드라마로 제작될 정도로)을 보면 책을 펼치는 순간 시간 여행을 한 것 처럼 순식간에 읽을 수 있을 것 같지만, 의외로  이 책에 대한 감상을 찾아보면  ‘읽기가 너무 힘들었다’ 는 얘기가 꽤 많다. 일부 독자는 여태까지 본 책들 중 가장 안 읽히는 책으로 선정해주셨다.

책이 안 읽히는 가장 큰 이유로 지적 받는 부분이 바로 그 시간 여행 때문인데, 계속해서 시간과 이야기 대상이 바뀌기 때문이다. 그 시간적인 격차가 193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로 대단히 크고, 그 사건과 인물들 사이에 교차점이 후반까지 거의 없기 때문에 초반의 신선함이 지루함으로 바뀌게 되고, 결국은 고통을 느끼는 순간이 오게된다.

스릴러 쟝르는 ‘스포일러’ 를 최대한 피하는게 좋지만, 이 책에 대해서 만큼은 스포일러를 먼저 보고 시작하는게 더 낫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여기서부터 스포일러#


연쇄 살인마 하퍼는 신비한 집을 발견하는데, 그 집을 통해 시간 여행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그 대가로 요구하는 것이 살인이다. 문제는 책이 끝날 때까지 ‘왜’ 나 ‘어떻게’ 같은 부분이 전혀 안나온 다는 점이다. 그냥 끝없이 살해할 뿐이다. 

대부분의 스릴러 쟝르 애호가들은 마지막 순간 뇌가 싸늘해질 정도의 반전이 있던가, 반전은 없다해도 뭔가 사건의 전말이 밝혀지면서 ‘아 그랬구나~’ 하는 쾌감을 기대할 가능성이 높다. 흐지부지 끝나는건 이 쟝르의 애호가가 가질 자세가 아니다. 하지만, 이 책은 불친절하게도 거의 아무것도 밝혀지지 않는다. 그렇다고 후속작에 대한 떡밥을 던진것도 아니고 그냥 끝. The End. 물론, 드라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영상을 통해 이것 저것 보여줄 수도 있겠으나, 일단 책만을 놓고 보면 허탈할 수 있는 결말이다. 

즉, 반전이 없고 밝혀지는 것도 없다는게 스포일러다. -_-
그런 의미에서, 그걸 기대하지 않고 보면 조금 낫다. (최소한 허무하지는 않으니까?)

어떤 독자는 스릴러나 추리물이 아닌 ‘공포 소설’ 로 보면 볼만하다는 평가를 해주기도 했는데, 그럼 또 다른 의미로 낚인건데… 공포 소설로 봐도 크게 재미있지는 않다.

잘 안 읽히는 부분은 아무래도 챕터마다 붙어 있는 날짜와 이름을 대충 넘기고 내용만 봐서일 가능성이 높다. 매번 챕터의 날짜와 이름을 조금 신경써주고 본다면 많은 사람들이 불만스러워 했던 ‘안 읽히는' 증상은 피할 수 있다. 재미가 없어서 안 읽힌다면 그건 어쩔 수 없지만.

웬만하면 술술 읽히는게 매력인 쟝르의 소설인데 술술 읽히지 않고, 남는게 개뿔도 없어도 재미는 있어야 하는 쟝르인데 큰 재미도 주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쉽다. 무엇보다 꽤나 참신할 수 있는 소재를 낭비했다는 점에서. (스티븐 킹이 소설을 칭찬했고, 디카프리오가 드라마화 했으니 성공한건가?)

참고로 goodreads 의 평점은 3.48 / 5  (27,094)
네이버 평점은 7.75 (75건)

내 평점은 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