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6. 25. 02:21
[IT]
최근에 국내에서 트위터(http://www.twitter.com) 의 인기가 폭발적입니다.
'난 들어본 적도 없는데 무슨 인기가 폭발적이란 거냐. 니 마음속에서 인기 폭발이냐?' 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웹 2.0 서비스에 관대하지 않던 한국 사용자들에게 이 정도 반응은 폭발적이란 단어가 아깝지 않습니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9062202010431699004 (디지털 타임즈 기사)
IT 에 관심있는 사용자들은 아이폰에 대해 매일 정보를 쏟아내고 있는 이찬진씨의 트위터에, 그 외의 사용자들은 김연아 선수의 트위터에 열광하고 있죠.
최근 이란 소녀 기사와 동영상이 공개된 곳도 트위터이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사용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이명박 대통령도 가입 의사를 밝혀서 이슈가 됐었습니다.
마이크로 블로그의 특징은 '짧은 내 생각'을 '가벼운 기분'으로 얘기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김연아 선수는 미니 홈피가 있고,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공식 홈페이지가 있습니다.
그런데, 블로그나 (미니) 홈피의 경우 뭔가 그 사람을 대표하는 '이미지' 같은 부담이 있기 때문에, 유명 인사가 글을 남기는게 신중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마이크로 블로그라면, "국민 여러분 사랑합니다" 같은거 한줄 쓰기가 훨씬 편하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트위터는 한국형 마이크로 블로그(NHN 이 인수한 me2day, SK 에서 서비스하는 토씨, 그리고 playtalk 등)와는 조금 성격이 다릅니다. 서비스 스타일의 특성상 '유명인'에게 유리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물론, 한국형 마이크로 블로그는 물론이고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도 유명인이 유리한 것은 당연하겠죠.
유명인이 일상이나 감정을 대중에게 공개한다는 것 자체가 이슈니까요.
트위터는 규모도 상당히 커진 상태이고, 서비스의 구성 자체가 어떤 메타 서비스 보다는 following, follower 를 중심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통의 평범한 사람이 그 세계에서 유명 인사가 되어 스타 마이크로 블로거가 되는 것은 상당히 힘들어 보입니다. (대단한 정보를 신속하게 신뢰할 수 있게 마구 쏟아내는 사람이면 좀 다를지 모르겠지만요)
마이크로 블로그는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 또는 관심이 있어하는 사람이 사용할 경우 더 매력적인 도구가 됩니다. 말하자면 '미니 홈피'의 다이어리 부분만 뽑아내서 블로그와 합친 형태 같으니까 말이죠.
follwing (playtalk에선 팬)으로 등록해 놓거나, 그냥 그 주소를 즐겨찾기 해놓고 종종 보면 됩니다.-_-;
아니면, 친한 지인들끼리 소통하는 도구로도 괜찮습니다.
'어차피 메신져로 할 수 있지 않아?' 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 목적이나 방법이 조금 다르죠.
예를 들어, '나 요즘 인간 관계 때문에 힘들다' 라는 것을 표현하고 싶을 때,
블로그에 한 줄 달랑 적어놓기는 웃기고, 싸이 미니 홈피에 올리면 뭔가 좀 부담스럽고,
그렇다고 메신져로 30명에게 같은 메시지 보내기도 그렇구요 (보내면 대화를 이어가야 하니까요)
단지, 그냥 나 이런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쓰고 싶을 뿐인데 말이죠. (덧글 기능은 있지만 씹으면 그만)
저도 블로그에는 글을 한번 쓰려고 하면 부담감이 상당해서 좀 가볍게 쓸 용도로 생성해봤습니다.
(당연히 어떤 도구가 있던, 제게는 블로그가 메인입니다. 썼다하면 길어지는 제겐 블로그 만큼 좋은 도구가 없어요. 특히, 무료 서비스인 티스토리에 만족중-_-)
트위터는 following 용으로 생성만 했고, (김연아 선수의 잡담을 보고 싶어서요...)
플레이톡(http://www.playtalk.net) 을 본격적으로 사용해보고 있습니다.
확실히 블로그에 비해 가볍고 부담감이 없어서 자주 쓰게 되고, 좀 더 솔직한 얘기들을 쓰게 됩니다.
쓰는 것도 가볍고, 지우는 것도 가볍기 때문에...
일단 재미삼아 한번 해볼만 합니다.
블로깅이 부담스러운 분이시라면 플레이톡이나 me2day 등으로 시작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세계적으로 놀고 싶다는 분은 트위터를 쓰시구요. :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크롬 플러스로 갈아타다 (13) | 2009.09.22 |
---|---|
VirtualBox 3.04 & CentOS 5.3 (12) | 2009.08.08 |
한글 지원 CDRip 프로그램 (10) | 2009.06.19 |
오라클이 썬마이크로시스템즈 인수 (2) | 2009.04.21 |
VGA 카드를 바꿨습니다. (8) | 2009.04.07 |
2009. 6. 22. 01:44
[free]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고사성어는 타산지석 [他山之石] 이다. 물론 한자로는 쓸 줄 모른다^_^;
타산지석 [他山之石]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일지라도 자신의 학덕을 연마하는 데에 도움이 됨을 비유한다. 《시경》 〈소아편(小雅篇)〉의 '학명(鶴鳴)'에 나오는 구절 '… 타산지석 가이위착(他山之石 可以爲錯;다른 산의 못생긴 돌멩이라도 구슬 가는 숫돌은 됨직한 것을!)' 에서 나온 말이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일지라도 자신의 학덕을 연마하는 데에 도움이 됨을 비유한다. 《시경》 〈소아편(小雅篇)〉의 '학명(鶴鳴)'에 나오는 구절 '… 타산지석 가이위착(他山之石 可以爲錯;다른 산의 못생긴 돌멩이라도 구슬 가는 숫돌은 됨직한 것을!)' 에서 나온 말이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꽤 어린 시절 처음 이 고사성어를 알게 된 순간 부터 내 신조가 되었다.
자기 계발 서적에 보면 종종 나오는 것들 중 하나는 '고마움'에 대한 얘기다.
하찮거나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들 중 얼마나 소중하고 고마운 것이 많은가? 공기나 물을 비롯해서...
매일 점심 시간에 '점심 먹었냐?', 퇴근할 무렵 '퇴근해라' 라는 메세지를 보내는 친구가 있다.
언제나 저 메시지만 보낸다. 심지어 메신져 봇(...)이 아닐까 의심될 때도 있다.
처음에는 '이 자식 스토커냐. 왜 맨날-_-' 이란 생각이었는데,
지금은 나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친구라는 생각 때문에 고마움을 느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발 대사는 좀 바꿔줬으면 더욱 고마울 것 같다.
이 글을 보면, 출근했냐? 저녁 먹어라... 로 바꿀까 두렵군-_-)
사소한 정성에도 매번 고마워 하고, 꼭 보답하려고 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엄청난 정성에도 시큰둥하고 당연하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당연히 사소한 정성을 베푸는 대상은 무덤덤한 관계일 것이고,
엄청난 정성을 베푸는 대상은 상당히 호감이 있는 상대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계속될 경우 그 호감의 정도가 그대로일까?
중요한 것은 타산지석.
남이 나에게 배푼 친절과 호의에 대해서 나는 어떻게 생각하고 반응하고 있는가 고민해본다.
우리 회사는 아침에 우유를 제공해 주는데 전 직원(700명 이상일듯?)이 먹을 정도는 아니다.
항상 출근이 늦는 내가 그 우유를 구경해 볼 기회는 전혀 없다.
하지만 일찍 출근하는 친구 한명이 꼭 챙겨주고 있다.
매일 고맙게 생각하지만, 당연히 챙겨주는 것으로 익숙해지고 있지는 않을까?
처음 회사 갔을 때, 냉장고 안에 음료수가 가득하고 티백 종류가 수십 가지인 것을 보고 감동을 받았었는데,
그 감동은 3일을 넘기지 못했다.
사람은 좋은 것, 편한 것에 너무나 금방 익숙해진다. 금방 당연한 것이 된다.
당연히 사람이 베푸는 친절에도 마찬가지.
나는 앤디 앤드루스가 쓴 [폰더씨의 위대한 하루] [폰더씨의 실천하는 하루] 를 최고의 자기 계발 서적으로 생각하는데, 거기 보면 재미있는 얘기가 있다.
당신을 당신 있는 모습 그대로 봐주는 것이 친구가 아니다.
그건 편의점이나 패스트 푸드 직원이겠지. 그들은 사심없이 있는 그대로 당신의 모습을 봐준다.
진정한 친구는 당신의 부족함을 지적해주고,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준다.
누군가를 잘 되길 바라면서 이끌어주는 것은 잘난척 하거나 그냥 심심해서가 아니다.
이 세상에 살면서 베풀 수 있는 많은 호의 중에서도 아주 중요하고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호의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거나 거부감을 가지는 사람도 있다.
어느 쪽을 선택할지는 결국 자기 몫. 나는 그런 호의에 제대로 반응하고 있을까?
내가 가장 고마움을 느끼는 사람들은 내 글을 봐주는 (그것도 꾸준히^^) 사람들이다.
인터넷이 발달 하면서 끝내주는 필력을 가진 사람들이 수도 없이 등장했다.
그런 사람들의 글을 보면 혀를 내두를 정도로 기가 막히다. 그야말로 글이 춤을 춘다.
나는 고백하건데 글을 잘 쓰는 편이 아니다.
다만, 글 쓰는 것을 좋아한다.
그렇기 때문에 소수더라도 꾸준히 관심있게 글을 봐주는 사람에게 큰 고마움을 느낀다.
오늘 앤디 앤드루스의 신작 [오렌지 비치] 를 읽고 갑자기 고마움에 대한 생각이 들어서 글을 남김.
'fre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 변신 시도 (10) | 2009.12.04 |
---|---|
2009년 최고의 기대작 - 공주와 개구리 (2) | 2009.11.22 |
요즘들어 가지고 싶은 것들 (10) | 2009.06.18 |
2009년 중간 정리 (10) | 2009.06.12 |
핸드폰 바꿨습니다. (2) | 2009.06.11 |
2009. 6. 19. 16:24
[IT]
회사 동료가 CDRipping 을 부탁해서,
예전 기억을 되살려서 자주 사용했던 freeware 인 WinDAC 을 떠올렸습니다.
그래서 심파일에 들어가서 WinDAC 을 검색해보니까 최근 업데이트 날짜가 2002 년이더군요-_-;
한일 월드컵 이후로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없었습니다.
지원 운영체제에 Win95/Win98/NT/2000 이라고 써 있는데...
이건 안되겠다 싶어서 그 다음으로 기억나는 CDex 를 찾아봤습니다.
2006 년 업데이트... 뭐 나쁘지 않죠. Windows XP 는 2003 년에 나왔는데 잘 돌아가잖아요.
근데, 이 놈은 mp3 를 축출하면 파일 이름이 다 AudioTrack 0?.mp3 로 저장이 되네요.
물론 파일 이름 바꿔줘도 되겠지만, 아무래도 ID3 Tag 도 안들어갈 것 같고...
뭔가 기분이 확 나쁘더군요-_-;
결국, 비장의 카드 Easy CD-DA Extractor 를 찾아봤습니다.
무려 2008 년 업데이트!!!
멋지다. 아직도 개발하고 있었구나! (프리 웨어인데... 너넨 일 안하고 freeware 개발하면 안 혼나니?)
2008년 프로그램답게 CD 의 정보를 가져오더군요.
CD 의 정보를 읽어오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소니의 CD-TEXT 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고, 곡 길이 정보를 이용해서 온라인 DB 를 뒤져서 찾아오는 것도 있고... 이런 저런 방법으로 MP3 재생 프로그램이나 CDRip 프로그램은 CD 를 넣으면 정보를 찾아냅니다.
그런데...
이놈이 유니코드를 지원 안하는겁니다.
무슨 얘기나면,
제목이 Love Song 이면 영어라서 Love Song.mp3 이런식으로 파일이 저장이 되고,
ID3 Tag 도 정상적으로 잘 저장이 되는데...
한글일 경우 깗쫣뚫훍.mp3 이런식으로 저장되고 ID3 Tag 도 망한 글자로 들어간다는거-_-;
아... 믿었던 카드 Easy CD-DA Extractor 에게 배신을 당하고 나니까 오기가 생기더군요.
winamp 를 받아서 CDRip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니까, mp4 로는 변환이 되지만 mp3 를 변환하고 싶으면 pro 버전이 필요하다고 하더군요. 이게 무료인지 유료인지 모르겠어서 포기...
결국 모든 CDrip 프로그램을 다 다운 받기 시작했습니다. 기억나는 것만도...
- Magic Audio CD Ripper
- Aktiv CD Ripper
- CDAConv
- TOP CD Ripper
- Altarsoft CD Ripper
- Top CD To MP3 WAV Maker
- Free Audio CD to MP3 Converter
- Shine CD to MP3 WAV Maker
를 받았는데, CDex 수준이거나 Easy CD-DA Extractor 수준이더군요. (나을게 없음)
곡 정보 읽어와서 파일 이름 & ID3 Tag 넣어주는 기능이 있더라도 전부 한글은 깗쫣뚫훍 인겁니다.-_-;
그러다가!
그냥 아무 생각없이 검색 엔진에서 cd to mp3 라고(...) 쳐봤습니다.
CD to MP3 Maker (http://www.yeware.com/) 라는 아무 생각없는 이름의 프로그램이 뜨더군요.
그래서 아무 생각없이 다운 받아서 돌려봤습니다.
이름이 저렇게 후졌음에도 불구하고 버전은 무려 2.6 이고, 프리웨어도 아닌 쉐어웨어 더군요.
실행봤는데... 오~ 화면은 깨끗해서 살짝 기대감 상승.
그리고 CD 를 넣으니까... 온라인 DB 를 찾아서 정보를 읽어오는데...
한글이 깨끗하게 출력!!!
아니 이런...
Aktiv CD Ripper 같은 뭔가 있어 보이는 프로그램이나,
Magic Audio CD Ripper 같은 마법이라도 부릴 것 같은 프로그램도 읽지 못한
"한글"을 자연스럽게 읽어오는거 아니겠습니까.
네이밍 센스는 엉망이지만,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착한 개발자였어요...!
근데, 이 놈이 쉐어웨어라서 5곡씩 밖에 변환이 안되는게 좀 아쉽더군요.
큰 문제는 아닙니다. 1500곡 정도 변환할 게 아니면... 5곡씩 변환해주면 되죠.
어쨌든 이 글을 쓴 이유는~
혹시, CDRip 하려다가 곡 정보 못 불러오거나 깗쫣뚫훍 에 분노하신 분이라면...
이 프로그램을 써보라고 권해드리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요즘 CDRip 할 일이 별로 없어서... 큰 의미는 없겠네요-_-;
예전 기억을 되살려서 자주 사용했던 freeware 인 WinDAC 을 떠올렸습니다.
그래서 심파일에 들어가서 WinDAC 을 검색해보니까 최근 업데이트 날짜가 2002 년이더군요-_-;
한일 월드컵 이후로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없었습니다.
지원 운영체제에 Win95/Win98/NT/2000 이라고 써 있는데...
이건 안되겠다 싶어서 그 다음으로 기억나는 CDex 를 찾아봤습니다.
2006 년 업데이트... 뭐 나쁘지 않죠. Windows XP 는 2003 년에 나왔는데 잘 돌아가잖아요.
근데, 이 놈은 mp3 를 축출하면 파일 이름이 다 AudioTrack 0?.mp3 로 저장이 되네요.
물론 파일 이름 바꿔줘도 되겠지만, 아무래도 ID3 Tag 도 안들어갈 것 같고...
뭔가 기분이 확 나쁘더군요-_-;
결국, 비장의 카드 Easy CD-DA Extractor 를 찾아봤습니다.
무려 2008 년 업데이트!!!
멋지다. 아직도 개발하고 있었구나! (프리 웨어인데... 너넨 일 안하고 freeware 개발하면 안 혼나니?)
2008년 프로그램답게 CD 의 정보를 가져오더군요.
CD 의 정보를 읽어오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소니의 CD-TEXT 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고, 곡 길이 정보를 이용해서 온라인 DB 를 뒤져서 찾아오는 것도 있고... 이런 저런 방법으로 MP3 재생 프로그램이나 CDRip 프로그램은 CD 를 넣으면 정보를 찾아냅니다.
그런데...
이놈이 유니코드를 지원 안하는겁니다.
무슨 얘기나면,
제목이 Love Song 이면 영어라서 Love Song.mp3 이런식으로 파일이 저장이 되고,
ID3 Tag 도 정상적으로 잘 저장이 되는데...
한글일 경우 깗쫣뚫훍.mp3 이런식으로 저장되고 ID3 Tag 도 망한 글자로 들어간다는거-_-;
아... 믿었던 카드 Easy CD-DA Extractor 에게 배신을 당하고 나니까 오기가 생기더군요.
winamp 를 받아서 CDRip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니까, mp4 로는 변환이 되지만 mp3 를 변환하고 싶으면 pro 버전이 필요하다고 하더군요. 이게 무료인지 유료인지 모르겠어서 포기...
결국 모든 CDrip 프로그램을 다 다운 받기 시작했습니다. 기억나는 것만도...
- Magic Audio CD Ripper
- Aktiv CD Ripper
- CDAConv
- TOP CD Ripper
- Altarsoft CD Ripper
- Top CD To MP3 WAV Maker
- Free Audio CD to MP3 Converter
- Shine CD to MP3 WAV Maker
를 받았는데, CDex 수준이거나 Easy CD-DA Extractor 수준이더군요. (나을게 없음)
곡 정보 읽어와서 파일 이름 & ID3 Tag 넣어주는 기능이 있더라도 전부 한글은 깗쫣뚫훍 인겁니다.-_-;
그러다가!
그냥 아무 생각없이 검색 엔진에서 cd to mp3 라고(...) 쳐봤습니다.
CD to MP3 Maker (http://www.yeware.com/) 라는 아무 생각없는 이름의 프로그램이 뜨더군요.
그래서 아무 생각없이 다운 받아서 돌려봤습니다.
이름이 저렇게 후졌음에도 불구하고 버전은 무려 2.6 이고, 프리웨어도 아닌 쉐어웨어 더군요.
실행봤는데... 오~ 화면은 깨끗해서 살짝 기대감 상승.
그리고 CD 를 넣으니까... 온라인 DB 를 찾아서 정보를 읽어오는데...
한글이 깨끗하게 출력!!!
아니 이런...
Aktiv CD Ripper 같은 뭔가 있어 보이는 프로그램이나,
Magic Audio CD Ripper 같은 마법이라도 부릴 것 같은 프로그램도 읽지 못한
"한글"을 자연스럽게 읽어오는거 아니겠습니까.
네이밍 센스는 엉망이지만, 유니코드를 지원하는 착한 개발자였어요...!
근데, 이 놈이 쉐어웨어라서 5곡씩 밖에 변환이 안되는게 좀 아쉽더군요.
큰 문제는 아닙니다. 1500곡 정도 변환할 게 아니면... 5곡씩 변환해주면 되죠.
어쨌든 이 글을 쓴 이유는~
혹시, CDRip 하려다가 곡 정보 못 불러오거나 깗쫣뚫훍 에 분노하신 분이라면...
이 프로그램을 써보라고 권해드리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요즘 CDRip 할 일이 별로 없어서... 큰 의미는 없겠네요-_-;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Box 3.04 & CentOS 5.3 (12) | 2009.08.08 |
---|---|
마이크로 블로그 (6) | 2009.06.25 |
오라클이 썬마이크로시스템즈 인수 (2) | 2009.04.21 |
VGA 카드를 바꿨습니다. (8) | 2009.04.07 |
삼성 Q30 vs 삼성 NC10 (4) | 2008.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