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321)
free (36)
영화 (85)
드라마 (21)
게임 (28)
만화/책 (34)
개발 (46)
IT (68)
연예 (3)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TETRIS
rss
2007. 3. 3. 22:00

감독  : 김용화
배우  : 주진모 / 김아중  / 성동일 / 김현숙 / 임현식
장르  : 코미디
시간  : 120 분

회사 팀원들과 같이 영화를 관람하러 들어 가는데, 한 여직원이 말했습니다.

"남자들이 김태희나 한가인만 찾는데, 김아중도 예쁘지 않아요?"

이 말을 듣자 저를 포함한 남자 직원들 모두들 매우 흥분해서 '김아중은 그 둘과 비교의 대상이 아니다' 라고 얘기했죠.

하지만, 영화가 끝난 후 곧 바로 그 발언을 취소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적어도 '미녀는 괴로워'에서 김아중은 정말 예뻤습니다.


김아중은 '해신'에서 호위 무사로 떴다는 얘기를 듣고 약간의 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다모에서의 하지원을 생각하며), 한 때 잠깐 이슈가 됐던 속이 비치는 옷-_-입고 나온 동영상에서 본게 전부였습니다. 말하자면 제대로 김아중의 모습을 본 것은 미녀는 괴로워가 처음이었던거죠. (그나마 알고 있던 정보라면 '동남아중'이라는 별명 정도?)

여자는 조명발, 화장발이라는 얘기가 있는데...
배우는 배역발이 대단합니다. 특히 여자 배우는 말이죠...

미녀는 괴로워는 정말 김아중의, 김아중에 의한, 김아중을 위한 영화였습니다.

뚱녀로 나오다가 변신한 모습의 격차가 워낙 컸고, 연출을 통해 더욱 아름답게 보이는 면도 있었지만, 무엇보다 그녀를 돋보이게 만든 것은 '노래'였습니다.

맛가게 만드는 분위기와 미모-_- 거기에 '가창력'까지!


사실, 전 영화가 끝날 때까지 이 영화의 노래를 김아중이 직접 불렀으리라고는 전혀 생각을 못했습니다. 완전히 립싱크라고 생각하고 있었거든요. 그래서 끝나고 집에 가면 바로 누가 별과 마리아를 불렀는지 찾아보리라 생각하고 있었는데... 정말 놀랍게도 직접 불렀더군요.

제가 가창력이 좋은 가수, 혹은 작곡 능력이 뛰어난 작곡가들을 굉장히 동경하는 편입니다. 제가 상상도 할 수 없는 분야의 일이니까요 음악은. (미술은 볼 줄 몰라서 피카소도 무시합니다)

그런데, '가수'도 아닌 것이... 노래가 원... -_-;

감독은 '오! 브라더스' 의 김용화 감독입니다. 오 브라더스에서도 보여줬듯 영화를 재미있게 풀어내는 능력이 꽤 훌륭합니다. 미녀는 괴로워는 단지 김아중이 예뻐서만, 노래가 좋아서만, 혹은 원작이 좋아서만 뜬 영화가 아닙니다. 시나리오도 좋았을 뿐더러, 연기도 좋았고, 감독의 연출 능력이 특히 좋았습니다.

저야 전문 영화 평론가도 아니고, 그냥 '재미'를 기준으로만 판단하지만, 그 면에 있어서는 정말 좋았다고 평가합니다. 제가 가장 싫어하는 것은 맥을 끊는 연출인데, 미녀는 괴로워는 시간이 어떻게 갔는지 모르게 적절한 호흡을 유지하면서 영화가 흘러갑니다. 로멘틱도 과하지 않고, 코메디도 과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메세지를 내세워서 가르치려고 들지도 않습니다. (감동을 주기 위해 약간 오버한 장면들도 있긴 있지만 거슬릴 정도는 아니었구요)

아직도 박력있던 미녀 김아중의 무대가 머리속에 남아있습니다.

인기가 워낙 많아서 DVD 출시가 늦어지고 있는데 (같은 시기의 '올드 미스 다이어리', '언니가 간다'는 벌써 출시됐는데 말이죠), 출시되면 꼭 한번 더 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김아중의 차기작 기대해 보고 싶습니다.

2007. 3. 3. 21:24

감독 : 김창래
출연 : 고소영 / 이범수 / 유건 / 조안 / 이중문
시간 : 112분
쟝르 : 로멘틱 코메디


시나리오부터 제목, 그리고 포스터까지 망할 수 밖에 없는 영화의 모범이라고 할 수 있는 '언니가 간다'

하지만, 이 영화에는 고소영이 나옵니다.

지금이야 사실, 같은 하늘 아래 살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동을 주는 두 여자...


... 가 있어서 아줌마(따지고 보면 한가인이 더 아줌마인가?)가 된 고소영에 대한 관심은, 거의 증발해 버린 상태이긴 합니다만, 그래도 두 여자 이전에 제게 환타지-_-를 불러 일으켰던 유일한 여자 연예인이었기에... 이 영화는 안보고 넘어갈 수 없었습니다.


환타지 시절의 고소영

아무도 전지현이나 김희선에게 연기를 기대하지 않듯, 저도 고소영의 연기를 기대하고 본 영화는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오, 그래도 이번에는 기대 보다는 나았다'라고 할만한 연기도 사실 보여준게 없습니다. 친구랑 같이 봤으면 제가 더 민망할 것 같은 기분마저 듭니다;

그러나 가장 슬펐던 것은 그녀의 평생 늘지 않는 연기가 아니고 (그건 전지현이나 김희선도 만만치 않잖아?;) 30대 중반을 넘긴 늙어버린 그녀의 모습이었습니다. 극중에서 툭하면 사람들이 '아줌마'라고 하는데, 어쩐지 마음이 울컥해지더군요. 흑-_-;

고소영이 워낙 성숙한 이미지 보다는 '하이틴 스타' 이미지가 강했기 때문에, 이미연이나 이영애 같은 느낌으로 관객들에게 다가서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영원히 귀여움과 섹시함을 겸비한 도발적인 하이틴 스타로 남을 수는 없는 노릇. 생각해봐도 고소영에게 마땅한 포지셔닝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 외의 배우들도 연기는 고소영과 비슷한 수준으로 보조를 맞춰주고 있습니다.-_-;


이범수의 연기야 물론 나무랄 곳 없이 훌륭하지만, 영화가 영화니만큼, 게다가 비중도 작은 편이라서 중심을 잡아 줄 정도는 아닙니다. 윤종신의 조연도 다른 영화에 비해 매끄럽지 못한 편이고, 기타 어린 시절을 연기하는 배우들은 그냥 그랬습니다.


조안이라는 여배우에 약간 관심은 생겨서 찾아봤는데 '돌려차기'에 나왔었네요? 전혀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조안은 82년생으로 25살인데 상당이 동안입니다. 임수정하고 맞먹지 않을까 싶은 생각까지 드네요. 옛날 같으면 고소영의 어린 시절 역을 맡았다는 것으로 꽤나 이슈가 됐을텐데, 이 영화 자체를 아무도 안봐주니...-_-;;;
(하필이면 이 영화 개봉시기가 미녀는 괴로워가 한참 날리고 있을 때였기에...)


감독은 장편 영화는 이 영화가 처음인지라 소개할 것도 없고, 유건이나 이중문(이름 재미있네)이라는 배우들은 제가 전혀 알지 못하는고로 리뷰에 적을 내용이 없습니다. 아 그러고보니 이중문은 차태현을 좀 많이 닮았습니다. 처음에는 차태현인가 상당히 헷갈렸었습니다.

스토리는 제가 아주 좋아하는 '시간'을 다루는 내용인데, 백투더 퓨처랑 비슷한 컨셉입니다. 하지만 시간을 다룬 스토리 치고 이렇게 흥미롭지 못한 시나리오는 처음입니다. 물론 최대한 과거를 바꾸지 않고 현재에서 바꾸겠다는 영화 자체의 주제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영화에서 등장 인물이 '과거'로 갔을 때(특히, 과거를 바꾸겠다고)에는 보통 관객들은 미래에서 왔다는 '어빌리티'를 최대한 활용하길 기대하기 마련이죠. 그런데 이 영화에서 과거로 간 고소영은 정말 닭 같은 행동만 합니다.

몇 가지 다른 영화 패러디 장면을 빼면 그다지 남는 것도 없습니다.

그나마 건질만한 것은 듀스의 노래들과 함께 1990년대를 추억해 볼 수 있다는 정도?

그 외에는 나이들어서 안타까운 고소영을 110여분 동안 지겹게 볼 수 있다는 것 밖에 없네요.

2007. 2. 20. 21:35
"스크립트 언어의 역습"

월간 마이크로 소프트웨어 2007년 2월호 Cover Story 제목이다.

실용주의 프로그래머를 읽으면서, 운영체제와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집착/편견을 버린 상태이기도 하거니와 최근 각종 스크립트 언어에 대해 관심이 높아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번달 커버 스토리는 상당히 흥미가 생겼다.

일단, 요즘 진행되는 프로젝트나 각종 상위 IT 기업들의 프로그래밍 언어 선택을 보면 확실히 스크립트 언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고, 강컴에서 보내주는 '열공합시다' 메일을 봐도 출간되는 서적 중 스크립트 언어 비중이 꽤나 높아졌음을 강렬히 느낄 수 있다.

그 중심에는 Ruby(on Rails)가 있겠고, 파이썬도 어느 정도 역할을 하고 있는 듯 하다.

문제는...

너무 많이 나오는거 아닌가 라는거-_-;

BASIC 과 Turbo Pascal 로 프로그래밍 언어 공부를 시작하고 C와 C++ 를 주력으로 생각하고 공부를 해왔지만 아직도 갈 길이 멀다. 그러나 내 사정은 전혀 알아주지도 않고 새로 쏟아져 나오는 것들은 너무나도 많다. C++ 의 경우만 생각해도 Windows 환경과 Linux 환경의 프로그래밍은 아무래도 다르고(근본은 같다고 하더라도), STL, 멀티 스레드, 소켓, DB 등등 관련해서 봐야 할 책이 수십권... 끝이 없다. (Delphi 는 아예 생각도 안해도 말이지...)

Cobol, Fotran, LISP, SmallTalk 등은 공부하지 않아도 된다고 해도, .NET 과 JAVA 는 먹고 살기 위해서 배우지 않을 수는 없는 노릇. 프레임 워크를 익히고, 각 플렛폼에서 밀고 있는 언어를 익힌다고 끝이 아니다. 시작점을 통과했을 뿐이다. 자바는 심플을 강조하면서 인기를 끌었던 옛 추억은 집어 던지고, 요즘은 가장 난해한 플렛폼으로 성장하고 있다. EJB, Struts, Spring 등등 뭐가 이렇게 많이 나오는건지...

게다가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는 웹 환경을 생각하면 기본적으로 XHTML, JavaScript, VBScript 등을 알아야 하고, PHP, ASP/APS.NET, JSP 등의 웹 스크립트 언어는 할 수 있어야 한다. (PERL 은 파이썬이 대신할 수 있을거라는 기대를 하면서...)

이제 스크립트 언어의 역습이 시작됐단다.

파이썬이 있고, 루비가 있고, 그 언어들을 모태로 하고 있는 자바 진영의 JRuby, Jython, Groovy, Jacl 와 .NET 진영의 IronPhyton, Ruby.NET 등 계속해서 스크립트 언어가 등장하고 있다. 물론 파이썬과 루비라는 모태를 배워두면 다른 것으로 넘어가기는 쉽겠으나 (문법 정도는 같지 않겠나)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도 다르고 각기 좀 더 발전하면 분명히 많은 차이가 생길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물론, 고수는 한 놈만 팬다.

하지만 아예 다른 것을 안하는 고수는 없다. (몇 몇 고수는 배를 갈아타기까지 했고... 자바 책의 BEST  Thinking in JAVA 를 쓴 고수도 루비로 갈아탔다지?) 더구나 실용주의 프로그래머에서는 분기마다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라고 충고하고 있던데... 공부만 하다가 죽을 수는 없잖아 -_-;

아, 정말로... 괴롭다.

이제 그만 좀 나와라. 제발-_-;


ps. 영어도 공부해야 되는데 말야-_-;;;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2010 (VC++ 10) 과 MySQL Connector  (4) 2012.03.19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5) 2008.10.13
RSS 리더를 만들다가  (2) 2007.03.05
파이썬을 공부하다  (2) 2007.03.05
개발 환경을 갖추다  (4) 2007.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