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2. 8. 19:37
[개발]
회사에서 .NET 1.1 로 되어있던 프로젝트를 .NET 2.0 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Visual Studio 2005 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지금 사용하고 있는 Visual Studio 2003 과 충돌이 나지 않도록 시스템을 추가로 신청해서 받았습니다. 사양은 CPU 펜티엄 4 - 2.8 기가, RAM 1기가, 그리고 VGA 가 라데온 9600 (호오!) 지금 사용하는 컴퓨터가 성능 쪽에서는 더 앞서지만, VGA 가 온보드 어뎁터인 X300 라서 게임은 보드 게임 밖에 못 돌리는 환경이었는데, 새로 받은 PC 의 라데온 9600 은 꽤나 괜찮네요.
기존에 회사에서 개발자들에게 크게 인심을 써서 17인치 LCD 2개를 쓸래? 아니면 21인치 와이드 LCD 를 쓸래? 라고 의견을 물어보고 대대적으로 모니터를 교체(17 LCD --> 21 LCD) 해준적이 있는데, 전 테스트 PC 에서 사용하고 있던 17인치 LCD 까지 연결해서 듀얼로 쓰고 있습니다.
이 듀얼이라는 환경이 평소 집에서 사용할 때랑 달리 업무할 때는 능률 향상에 엄청나게 도움을 줍니다. 제가 작업하는 프로젝트들이 창을 여러개 띄워놓고 동시에 여러가지를 모니터링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때 듀얼 스크린의 편리함이란 상상을 초월합니다.
게다가 왼쪽 모니터가 와이드라 Visual Studio 띄워 놓고, 우측에는 MDSN, 아웃룩 등을 사용하면 작업 공간 확보가 확실하게 됩니다. 너무나 편리해서 집에서도 남는 CRT(...) 모니터를 2nd 모니터로 연결해서 듀얼을 시도해봤는데, 일단 LCD - CRT 의 싱크로가 생각보다 너무 별로이고, 더욱이 듀얼을 쓸 일이 없더군요. (후...)
어쨌거나 기본적인 듀얼 환경에다가 이번에 가져온 추가 PC 를 연결했는데, 모니터를 새로 받을 수는 없기에 KVM 이란느 장치를 이용해서 연결하게 됐습니다. KVM 은 뭐냐하면 모니터 - 키보드 - 마우스 공유기입니다. 스크롤락(Scroll Lock) 버튼을 두번 연타해주면 하드웨어적으로 인식을 해서 두 개의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을 스위치 해주는 장치죠.
아주 옛날부터 전산실 등에서 본 적은 있었는데, 지금까지는 PC 를 1대 이상 쓸 일이 별로 없었기에 그게 뭔 필요가 있으랴... 하면서 전혀 관심도 없었는데 이거 써보니까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듀얼 스크린과 달리 KVM 의 경우에는 집에도 설치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집에 어디선가 얻어온 1.2 기가 짜리 셀러론 PC 가 있는데 공간의 압박으로 그냥 구석에 짱 박아두고 있었거든요. 이것을 리눅스 서버로 만들어서 KVM 으로 연결해두면 굉장히 유용할 듯 싶습니다.
하드웨어 적인 환경을 꾸미고 나니까 뭔가 좀 더 변화를 줄 수 없을까 하는 생각에 떠오른 것이 비주얼 스튜디오의 폰트를 바꿔야겠다는 생각.
프로그래머 선호도 1위라고 하는 Bitstream Vera San Mono (길기도 하지...) 폰트를 설치했더니 좀 낯설기는 하지만 확실히 가독률은 엄청 좋아지는 군요. I와 l (돋움체에서는 같아 보인다)과 1 이 확연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고, O와 0도 완전히 다르다. 게다가 글씨도 꽤 예쁜 것 같고 마음에 들어서 당분간 쓰면서 적응해 볼 예정 : )
이렇게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으로 환경은 다 꾸며 놨으니 이제 제대로 일을 해야할텐데 정작 일은 효율이 떨어져서 큰일.
아~ 집중력을 되찾아야 할텐데...
Visual Studio 2005 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지금 사용하고 있는 Visual Studio 2003 과 충돌이 나지 않도록 시스템을 추가로 신청해서 받았습니다. 사양은 CPU 펜티엄 4 - 2.8 기가, RAM 1기가, 그리고 VGA 가 라데온 9600 (호오!) 지금 사용하는 컴퓨터가 성능 쪽에서는 더 앞서지만, VGA 가 온보드 어뎁터인 X300 라서 게임은 보드 게임 밖에 못 돌리는 환경이었는데, 새로 받은 PC 의 라데온 9600 은 꽤나 괜찮네요.
이 듀얼이라는 환경이 평소 집에서 사용할 때랑 달리 업무할 때는 능률 향상에 엄청나게 도움을 줍니다. 제가 작업하는 프로젝트들이 창을 여러개 띄워놓고 동시에 여러가지를 모니터링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때 듀얼 스크린의 편리함이란 상상을 초월합니다.
게다가 왼쪽 모니터가 와이드라 Visual Studio 띄워 놓고, 우측에는 MDSN, 아웃룩 등을 사용하면 작업 공간 확보가 확실하게 됩니다. 너무나 편리해서 집에서도 남는 CRT(...) 모니터를 2nd 모니터로 연결해서 듀얼을 시도해봤는데, 일단 LCD - CRT 의 싱크로가 생각보다 너무 별로이고, 더욱이 듀얼을 쓸 일이 없더군요. (후...)
아주 옛날부터 전산실 등에서 본 적은 있었는데, 지금까지는 PC 를 1대 이상 쓸 일이 별로 없었기에 그게 뭔 필요가 있으랴... 하면서 전혀 관심도 없었는데 이거 써보니까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듀얼 스크린과 달리 KVM 의 경우에는 집에도 설치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집에 어디선가 얻어온 1.2 기가 짜리 셀러론 PC 가 있는데 공간의 압박으로 그냥 구석에 짱 박아두고 있었거든요. 이것을 리눅스 서버로 만들어서 KVM 으로 연결해두면 굉장히 유용할 듯 싶습니다.
하드웨어 적인 환경을 꾸미고 나니까 뭔가 좀 더 변화를 줄 수 없을까 하는 생각에 떠오른 것이 비주얼 스튜디오의 폰트를 바꿔야겠다는 생각.
프로그래머 선호도 1위라고 하는 Bitstream Vera San Mono (길기도 하지...) 폰트를 설치했더니 좀 낯설기는 하지만 확실히 가독률은 엄청 좋아지는 군요. I와 l (돋움체에서는 같아 보인다)과 1 이 확연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고, O와 0도 완전히 다르다. 게다가 글씨도 꽤 예쁜 것 같고 마음에 들어서 당분간 쓰면서 적응해 볼 예정 : )
클릭하면 큰 화면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으로 환경은 다 꾸며 놨으니 이제 제대로 일을 해야할텐데 정작 일은 효율이 떨어져서 큰일.
아~ 집중력을 되찾아야 할텐데...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2010 (VC++ 10) 과 MySQL Connector (4) | 2012.03.19 |
---|---|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5) | 2008.10.13 |
RSS 리더를 만들다가 (2) | 2007.03.05 |
파이썬을 공부하다 (2) | 2007.03.05 |
스크립트 언어의 역습 (2) | 2007.02.20 |
2006. 12. 21. 11:11
[free]
해리포터 팀에서 준비해주셨군요.
해리포터 불사조 기사단
2007년 7월 13일 개봉.
만세~
ps. 그런데 겨울의 해리포터가 2년째 여름 블록 버스터로 등장하네요.
'fre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에서 다시 시작합니다. (0) | 2007.04.04 |
---|---|
트래픽 초과, 티스토리로 갈까? (2) | 2007.04.04 |
집 이사했습니다. (0) | 2006.06.05 |
며칠간 너무 바빠 신경 못 쓴 사이에 1만 돌파 : ) (8) | 2006.04.15 |
테터툴즈를 선택한 이유 (6) | 2006.03.29 |
2006. 12. 19. 16:54
[영화]
"무간도" 제목 : 무간도 감독 : 유위강 / 맥조휘 주연 : 유덕화 / 양조위 시간 : 100분 개봉일 : 2003-02-21홍콩을 상징하는 두 배우 무간도를 소개할 때 상당수의 기사에서 이런 표현을 사용합니다. [홍콩 영화의 신 기원], [향후 홍콩 영화의 나아갈 비전 제시] 등등... 그만큼 무간도는 지금까지의 고사성어 영화들(영웅본색,첩혈쌍웅 같은)과는 상당히 다른 분위기입니다. 분위기만 다른 것이 아니라, 헐리웃의 명작 첩보물에서나 느꼈던 그런 긴장감과 액션을 보여줍니다. 게다가 시나리오의 퀄러티도 높습니다. 우선 아주 유명한 배우들이 나온다는 것도 이 영화의 매력입니다. 천장지구 등으로 유명한 유덕화와 중경삼림으로 유명한 양조위가 출연하죠. 이 두 사람은 성룡과 이연 걸, 주윤발이 빠져나가고 장국영이 죽은 홍콩 영화계에 남은 몇 안되는 핵심 배우죠.
잘생겼지만, 웬지 성격이 나쁠 것 같다. (편견) 개인적으로는 유덕화는 웬지 성격이 나쁠 것 같아서 싫고(여기서도 그리 좋은 역이 라고는 생각되지 않네요), 양조위는 원래부터 좋아했습니다. 최근에 본 '영웅'에서의 '파검'역도 참 멋졌습니다. (영웅 영화 자체는 좀 작위적이라 별로였지만요)
"어이" "넌 인상이 나빠서 죽어줘야겠어!" 외모나 제가 좋아하는 취향과는 상관없이 두 배우의 연기는 매우 좋습니다. 홍콩을 대표하는 배우들답게 무척 자연스럽고 좋은 연기를 보여줍니다. 딱, 배역에 맞는 성 격을 연기해내고 있습니다. 악역이나 경찰 간부의 배역도 훌륭합니다. 아무래도 이중 첩보원이라는 설정 자체가 뛰어난 연기를 필요로 하는데, 이 영화에서의 배우들의 연 기는 누구라 할 것 없이 괜찮습니다.
경찰 쪽 보스 (조폭 두목같다;) 조직 쪽 보스 (귀엽다;;) 무간도의 감독은 유위강/맥조휘 두 사람으로 나와있는데 전 전혀 모르는 사람들 입 니다.-_-; 대충 감독했던 영화들을 찾아보니, 중화영웅, 풍운, 적나고양 2, 소살리토, 동경용호투 등이 눈에 익네요. 물론, 제가 홍콩 영화를 즐겨보는 편이 아니다보니 이 중에서 관람한 영화는 하나도 없습니다. 그래도 '적나고양'이라는 제목은 좀 신선하 긴 하군요.;;; 전 무간도를 상당히 재미있게 봤기 때문에 감독 이름을 찾아볼 때, 영웅본색, 첩혈 쌍웅까지는 아니더라도(물론, 이 두 시리즈도 안봤습니다. 전 홍콩 영화를 안봐요;;) 상당히 유명한 영화들이 나올 줄 알았는데, 제가 아는 영화는 없네요. 물론, 제가 모 르지만 무척 유명한 영화들일 수도 있겠군요. 중화영웅, 풍운 등... (아주 약간의 스포일러 포함)
무간도의 스토리는 정말 재미있습니다. 설정 자체가 파격적이죠. 경찰을 뒤 흔들기 위해서 조직 중 한명을 경찰 학교를 졸업시켜서 경찰 간부가 되게 만들고, 다른 한쪽 에서는 조직을 일망 타진하기 위해 경찰 학교의 뛰어난 학생 한명을 조직에 넣습니다. 그렇게 엇갈린 이중 스파이들은 각각의 목적을 위해 이리저리 덧을 설치하고, 목표를 수행해 나갑니다. 조직에 파견된 양조위의 정체를 알고 있는 사람은 그를 보낸 경찰 간부 한명뿐입니다. 하지만 그가 경찰 쪽의 이중 스파이에 의해서 목숨을 잃게 된 후, 양조위는 엄청난 위기를 겪게 됩니다. 그리고... (후략)
이중 스파이를 다룬 영화는 너무나도 많습니다만, 이렇게 양쪽에 서로 이중 스파이 를 보내서 그로 인해서 발생하는 첩보전을 재미있게 다룬 홍콩 영화는 처음이지 싶습 니다. 얼마나 인기를 끌었으면 홍콩 영화의 나아갈 길이라는 평가를 받았겠습니까?
이 영화는 홍콩 영화의 미래에 기대를 걸게 해줬고, 화면빨로 밀고 나가다가 멸망 한 몇몇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에는 경각심을 불러 일으켰다고 생각합니다. 시나리 오의 퀄러티가 높을 때, 그 영화의 가치는 빛을 발하게 됩니다. 홍콩도 무간도를 통 해서 새로운 전환점을 맡게 될 것 같군요. 쉬리 이후로 한국 영화들이 괄목할만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마치 전성기 때 의 홍콩 영화들처럼 말이죠. 물론 차이점은 한국 영화의 소재가 그나마 홍콩 영화에 비해서는 더 다양하다는 점이지만, 지금 잘 나가는 한국 영화라도 언제 홍콩 영화처 럼 단번에 무너질지 모르죠. 한국 영화도 시나리오가 부제된 엉터리 블록 버스터는 이제 그만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녀는 괴로워 (2006) ★★★☆ (8) | 2007.03.03 |
---|---|
언니가 간다 (Project Makeover, 2006) ★★☆ (0) | 2007.03.03 |
고스트 쉽 (Ghost Ship, 2002) ★★★ (6) | 2006.11.29 |
타짜 (2006) ★★★☆ (4) | 2006.10.22 |
헐리웃 호미사이드 (Hollywood Homicide, 2003) ★ (2) | 2006.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