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321)
free (36)
영화 (85)
드라마 (21)
게임 (28)
만화/책 (34)
개발 (46)
IT (68)
연예 (3)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TETRIS
rss
2012. 1. 16. 23:34
[IT]

펜타그래프 중 키감이 아주 좋은 편이라고 생각하는 아이락스의 KR-6310



아이락스 펜타그래프 키보드인 KR-6310 에 음료수를 쏟았고, 그 불상사는 기계식 키보드 구입으로 이어져서, 4천원짜리로 만족하던 내 손가락은 고가의 기계식 키보드가 아니면 만족할 수 없는 불행한 손가락이 되어버렸다. 

어쨌든 그 불행의 시작인 6310 을 부활 시키기 위해서 2번의 시도가 있었다.

첫번째는 쏟은 부위의 키캡을 분리해서 물로 닦은 후에 재조립.

쏟은 부분


하지만 쏟은 부위의 키들은 여전히 누르면 올라오지 않고 붙어있는(...) 현상이 계속됐다.

겪어 본 사람은 알겠지만, 엔터키를 눌렀는데, 키가 올라오지 않으면 굉장히 기분이 나빠진다. -_- 


두번째는 전체 키보드를 분해해서 손에 비누 거품을 내고 잘 닦은 후 재조립.


확실히 상태는 나아졌으나, 여전히 핵심 주요 키 (엔터, 백스페이스, 방향키) 들이 뻑뻑했다.
일단 사용은 가능했기에 한동안 버텼으나, 점점 스트레스 지수가 올라갔고...
결국 버티지 못하고 QSENN GP-K5000 에게 메인 키보드 자리를 내주었다. 
그렇게 아이락스 키보드는 GP-K5000 박스에 담겨서 구석으로 사라졌으나...
오늘 퇴근 후에 갑자기 'A/S 를 보낼 수 있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 확인해보니, 무상 수리 기간은 1년. 그러나 안타깝게도 구매 시기는 2009년 9월 19일. 3개월 차이로 A/S 를 받을 수가 없었다. 

다시 박스에 넣으려다가 '마지막'으로 한번만 더 닦아보겠어... 라고 결심하고,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문제가 되는 키들을 분리해서 바디 클렌져(...)를 세수대아에 풀고 1시간을 푹 담궜다가 다시 일일이 박박 문질러서 닦은 후 재조립을 해봤다.


 

그랬더니~
제목처럼 키보드가 살아났다!!!!

문제가 됐던 \ 키, 백스페이스, 엔터키, 그리고 방향키와 Insert, Delete, Home, End, PgUp, PgDn 과 옆의 숫자 키패드가 모두 정상으로 돌아왔다.

물론 예전 키감의 100% 라고는 할 수 없지만, 거의 90~95% 정도는 회복한 것 같다.

지금 이 글도 키보드 테스트를 위해서 6310 으로 작성하고 있는데, 불편함을 모르겠다.
물론, 방향키와 특수키들은 프로그래밍 할 때나 사용하니까,
오늘 작업을 좀 해봐야 더 느낌이 오겠으나 일단 '버릴 정도'는 아니게 바뀌었다.

하지만, 이제 주력 키보드로 사용하는 것은 무리.

이 키보드는 이제 추억속으로...


으아아아아악!!!!!!!!!!!!!!!!!!!!

글 쓰다가 숫자 7 (Home) 이 안눌러져서... 다시 키캡을 뜯어서 확인하던 중...

왜 안눌리지? 하고 고무를 눌렀다가 당겼는데...




으어어어엉 ㅜㅜ

찢.어.졌.다 -_-

고무가 아예 찢어져서 이제 복구가 아예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버렸다 ㅜㅜ 

아, 이런 불상사가...

키보드 자체를 물로 닦은게 문제였나보다.

키보드 살려낸 것을 축하하는 의미에서 작성하던 글이었는데...
완벽하게 사망을 선고하는 글이 되어버렸네-_-;

다른 안쓰는키 (우측 윈도우 키 같은)에서 고무를 빼서 사용해봤으나...
애초에 기판에 문제가 생긴 것 같다.

너무 맘 편하게 물로 닦았나봐. 으허허허헝-_-;

허ㅓ ?

.........................................
여기서 부터는 다른 키보드로...
.........................................

첫 줄 ( qwer ... ) 도 안눌린다. -_-

7 (Home) 이 안눌려서 기판을 좀 긁었더니....

다른 글자도 안눌린다. 으아아아아악~~~

뭐여 이거-_-;

완전히 망가뜨렸네. 아하하하하하.


분명히 "키보드를 살려냈다!" 라고 자랑스럽게 시작했는데,
정신 붕괴로 이어지는 글이 되어버렸다...

그래도 대충 쓸 수는 있는 상태였는데...
완전 무결하게 망가졌다.

이 글 저장 후 버리러 감. -_-;

2012. 1. 14. 17:12

저는 IDE 나 에디터의 백그라운드 컬러는 어두운 색을 선호합니다.

밝은 색 (특히 흰색)을 하루 종일 보고 있으면 눈이 너무 피곤해서요.
여태까지는 완전 블랙(0, 0, 0) 을 사용했었는데,
조금 녹색 분위기(31, 34, 35)가 나는 것이 눈이 더 편하다는 느낌이라 변경해봤습니다.

이클립스랑 비주얼 스튜디오 모두 비슷한 색상으로 꾸몄고,
비주얼 스튜디오는 Visual Assist X 가 컬러링을 추가해줍니다.
만약, Visual Assist X 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UserType.dat (인터넷에 널렸음) 을 \Common7\IDE 에 넣은 후 사용자 정의 색을 추가하면 됩니다.

이클립스 화면



비주얼 스튜디오 화면



혹시 이런 컬러가 마음에 드시는 분은
환경 설정을 저장하신 후, 아래 파일을 한번 적용해보세요~
환경 설정은 저장만 해두면 되돌리기 아주 간단합니다. 

환경 파일입니다.
  


2012. 1. 14. 01:34
[IT]
전자 기기라면 사족을 못쓰고 좋아하고, 관심을 가지고 찾아보지만, 반면 금방 실증을 느끼는 편이기 때문에 실제로 구매로 이어지는 경우는 별로 없다.

내가 가지고 있는 휴대 기기는 스마트폰이 유일하며, 컴퓨터 주변 기기나 IT 기기도 전자책과 최근에 구매한 기계식 키보드가 전부이다. 엄청나게 관심도 많고 자주 언급하는 것에 비해서 갖추고 있는 장비는 별게 없다. (전자책과 기계식 키보드는 내 삶과 직업과 취미 생활과도 너무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한번 관심이 생기고 나서는 벗어날 수가 없었다) 

기계식 키보드의 최대 장점은 지난번에 얘기한 것처럼 타이핑이 즐거워진다! 는 점인데, 한번 맛을 들이면 정말 멤브레인 키보드나 펜타그래프 키보드는 건들기도 싫어진다. 몇번 Full HD 해상도의 영화를 보고나면 DVD 급 화질은 뭔가 잘못된 것 같은 기분을 느끼는 것처럼.

그러다보니 집에서도 기계식 키보드를 쓰고 싶어져서 큰일이다.  

키보드를 출퇴근 할 때 마다 들고 다닐수도 없고... -_-;
(오늘 퇴근할 때는 진짜로 살짝 고민했다. 1.3 kg 이 아니었으면 정말 들고 왔을지도...)

그렇다고 하나를 더 구입하자니 가격의 압박이 심하다.
새로 구입한 GP-K5000 키보드 12개 값이다. 
회사 구내 식당에서 식사를 40번 할 수 있는 가격이기도 하다.

그리고, 또 다른 문제가 있다.
구매를 좀 더 신중하게 했어야 헀는데, 급한 마음에 너무 생각없이 질렀다.

물론, 구입한 레오폴드 FC300R(R) 자체는 대단히 훌륭하다.
가격대비 성능이 아니라, 그냥 기계식 전체에서 가장 좋은 것 같다. 
회사에서 30만원대의 리얼 포스, 10만원대~20만원대의 필코나 체리 키보드를 만져봐도 내 취향에는 레오폴드 만큼 맞는게 없다. (아이락스도 마음에 들지만 그 놈의 스페이스바, 엔터키가 문제)

다만, "텐키리스" 를 구입했어야 했다. (텐키리스는 옆에 숫자 키패드가 없는 모델)
 
처음에는 더 작은데 (숫자 키패드가 없는데) 값을 1/4 정도는 빼야 하는거 아닌가 생각했다.
(물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한다. 부품이 조금 들어가는데 가격이 같다니!-_-)

그래서, 당연히 같은 가격에 키패드 있는 녀석을 샀다. (손해볼 수 없잖아!)
그런데, 어차피 숫자 키패드를 사용하지 않을거면 키패드 없는 텐키리스 모델에 큰 장점이 있다.

마우스를 키패드가 있는 위치에 놓고 사용하면 타이핑을 하다가 마우스를 조작할 때 동선이 짧아지고 자세가 편해진다. 특히, 내 경우에는 마우스를 굉장히 멀리 놓고 사용하는 편이라 몇 시간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불편을 느끼는데, 이 부분을 조금 개선할 수가 있다.

만약 애초에 텐키리스를 샀다면, 그것을 회사에서 쓰고 집에는 (풀배열인) 저가형 아이락스를 추가로 구입해서 사용하면 베스트 시나리오였을텐데... 이미 풀배열 키보드를 구입한 상태라, 추가로 텐키리스를 구입할 경우 레오폴드를 선택할 수 밖에 없다. (아이락스에는 텐키리스 제품이 없으므로) 

더구나, 레오폴드의 텐키리스는 FC200R 이라는 구형 모델과 지금 예판을 받고 있는 FC700R 이라는 신형 모델이 있는데, 이제와서 3만원 정도 차이로 구형을 사기도 좀 꺼려진다. 그렇게 되면 기존에 구입한 풀배열 FC300R 보다도 더 돈이 들어간다. 아~ 망했어요! -_-

또, GP-K5000 이 어느 정도 만족스럽다보니까 그냥 집에서는 멤브레인으로 견딜까? 싶기도 하고...

지금 상태로는 이렇게 정신이 왔다갔다 하다가 결국 텐키리스를 하나 지를 것 같기도하고...-_-;

혼돈 그 자체다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