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8. 28. 01:27
[만화/책]
프랑스에서 처음 <개미>를 발표했을 때 거의 반응도 없었는데, 한국에서 소위 '대박'이 나면서 프랑스에서까지 재조명을 받으면서 떴다고 하죠. <개미> 전세계 판매량의 절반 가까이를 한국에서 팔았고, 그의 소설 전체로는 한국에서만 500만부가 팔렸다고 하니 그의 한국에 대한 관심과 사랑도 특별할만 합니다. 자기를 가장 먼저 알아봐주고 사랑해 준 (그것도 꾸준히!) 한국이 얼마나 고맙겠어요.
그의 한국과의 특별한 인연은 그렇다치고...
이 작가 정말 천재 중의 천재입니다. 글의 소재나 발상, 그리고 전개가 상상을 초월합니다. 어쩌면 이렇게 놀라운 소재를 찾아내서 그렇게 기발하게 글을 쓸 수 있는지 놀랍기만 합니다. 사실 10년 이상을 백번 넘게 고쳐썼다는 <개미>부터 특별했고, 그 후로 <타나토노트> <뇌> <나무> 등도 엄청납니다. 그냥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존 그리삼의 법정 소설도 재미있고, 마이클 클라이튼의 SF 도 재미있고, 로빈 쿡의 의학 소설들도 다 재미있었지만, 소설을 읽으면서 "충격"을 받을 정도로 상상력에 감탄하는 경우는 많이 없었거든요. 그나마 조엔 K. 롤링의 <해리포터> 시리즈가 상상력이 상당하긴 했습니다만, 판타지가 아닌 소설에서 이런 놀랍고 기발한 발상은 처음봅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을 읽으면서 요즘들어 '상상력'이나 '창의력'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서구와 아시아를 비교할 때, 뛰어난 기술들은 동북아시아 (한국/일본 등)에서도 얼마든지 보여주지만 창의력에 있어서는 동북아시아 특히 한국이 많이 떨어지는게 아닌가 걱정이 됩니다.
같은 나이, 같은 연차의 개발자라고 해도 해외(특히 미국) 개발자들과 한국 개발자들의 평균적인 실력 차이가 어마 어마 하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많은데, 이 모든 것이 상상력과 창의력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닐까 고민이 되네요.
요즘 정부나 기업에서 소프트웨어 인재를 키우겠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데, 그게 돈을 부어서 키우겠다고 키워질 부분이 아닌 것 같습니다. 아주 장기적인 관점으로 교육 시스템을 바꿔나가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돈으로 해결하기에 너무 격차가 큽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 소설 얘기하다가 너무 멀리 왔는데, 어쨌든 그의 책은 기발하면서도 굉장히 재미있습니다. 여운도 많이 남고, 생각도 많이 하게 되네요.
이제 <타나토노트> <천사들의 제국> 에서 이어지는 <신> 을 볼 차례입니다.
다시 감상을 블로그에 남길지는 모르겠으나, 대단히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의 한국과의 특별한 인연은 그렇다치고...
이 작가 정말 천재 중의 천재입니다. 글의 소재나 발상, 그리고 전개가 상상을 초월합니다. 어쩌면 이렇게 놀라운 소재를 찾아내서 그렇게 기발하게 글을 쓸 수 있는지 놀랍기만 합니다. 사실 10년 이상을 백번 넘게 고쳐썼다는 <개미>부터 특별했고, 그 후로 <타나토노트> <뇌> <나무> 등도 엄청납니다. 그냥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존 그리삼의 법정 소설도 재미있고, 마이클 클라이튼의 SF 도 재미있고, 로빈 쿡의 의학 소설들도 다 재미있었지만, 소설을 읽으면서 "충격"을 받을 정도로 상상력에 감탄하는 경우는 많이 없었거든요. 그나마 조엔 K. 롤링의 <해리포터> 시리즈가 상상력이 상당하긴 했습니다만, 판타지가 아닌 소설에서 이런 놀랍고 기발한 발상은 처음봅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을 읽으면서 요즘들어 '상상력'이나 '창의력'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서구와 아시아를 비교할 때, 뛰어난 기술들은 동북아시아 (한국/일본 등)에서도 얼마든지 보여주지만 창의력에 있어서는 동북아시아 특히 한국이 많이 떨어지는게 아닌가 걱정이 됩니다.
같은 나이, 같은 연차의 개발자라고 해도 해외(특히 미국) 개발자들과 한국 개발자들의 평균적인 실력 차이가 어마 어마 하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많은데, 이 모든 것이 상상력과 창의력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닐까 고민이 되네요.
요즘 정부나 기업에서 소프트웨어 인재를 키우겠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데, 그게 돈을 부어서 키우겠다고 키워질 부분이 아닌 것 같습니다. 아주 장기적인 관점으로 교육 시스템을 바꿔나가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돈으로 해결하기에 너무 격차가 큽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 소설 얘기하다가 너무 멀리 왔는데, 어쨌든 그의 책은 기발하면서도 굉장히 재미있습니다. 여운도 많이 남고, 생각도 많이 하게 되네요.
이제 <타나토노트> <천사들의 제국> 에서 이어지는 <신> 을 볼 차례입니다.
다시 감상을 블로그에 남길지는 모르겠으나, 대단히 기대하고 있습니다.
'만화/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극의 아이 (장용민) (0) | 2015.09.15 |
---|---|
기욤 뮈소 (0) | 2012.11.28 |
무라카미 류 "69" (3) | 2011.08.28 |
당신은 읽었나, 판타지 소설 300선! (0) | 2011.07.08 |
뉴욕의 프로그래머 (12) | 2009.01.18 |
2011. 8. 28. 01:06
[만화/책]
69라고 하면 즐거운 상상을 펼치는 분들이 많을텐데, 무라카미 류 소설 제목 "69"는 1969년을 의미합니다. 안타깝지만 야한 내용은 전혀 나오지 않아요. 이 시점에서 이미 이 책을 보는 것은 무의미하다~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겠지만, 이 소설 꽤 재미있습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를 감명깊게 읽은 후 일본 소설에 필이 꽂혀서, 하루키와 이름도 비슷하고 예전부터 한번쯤 읽어봐야지 생각했던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의 저자 무라카미 류의 "69"를 읽게 되었습니다.
처음에 읽기 시작할 때는 <중2병> 걸린 고등학생 들이 나와서 끝없는 허세를 보여주기에 '이게 대체 뭔?'이란 생각을 했었는데, 사건이 전개되어 "혁명"을 일으키고, 또 그 혁명이 "발각"되고, 다시 "페스티발"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어지면서 흥미진진합니다.
예전 PC통신 하이텔 시절 유머란에서 글을 쓸 때, 평소에 "계"씨로 구설수에 오르는게 항상 피곤했던 저는 어디선가 주어들은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라는 문구가 마음에 들어서 <블루>를 필명으로 사용 했었죠. 그러면서 글 끝 마다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라고 남기곤 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유머글 끝에다가 저런 문구를 남겨놨던 것 자체가 허세이고 중2병 같은 행동이란 생각이 드네요. 그런 의미에서 허세가 넘쳐나는 "69" 의 작가 무라카미류와 저는 특별한 인연이 있는 듯 합니다.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소설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가 상당히 야한 소설이라는 점이죠. 일본 소설이 기본적으로 좀 야한 것 같아요. 선진국의 문화는 이래서 좋은 것 같습니다. 후...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가 하루키의 자전적인 소설이라면, "69"는 무라카미 류의 자전적인 소설입니다. 등장인물 대부분이 다 실존 인물이고, 사건들도 대부분 실제 사건이라고 하네요. 그 허세가 다 실제였다니(부왁!) 몹시 피곤한 기분이 듭니다.
그렇지만 소설을 읽으면서 그래도 그 때는 고등학생들도 <허세>로 보일지언정 뭔가 철학이 있거나, 철학은 아니더라도 그런(이상 같은) 것을 추구하거나 열망하거나 아니면 하다못해 의미있게 봐주는 그런 경향이 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의 시대는 돈이 중요하고, 그게 아니면 연예계 소식이 중요한 시대가 된 것 같습니다. 어떤 고등학생도 <혁명>이니 <철학>이니 <문학>이니 이런 것을 얘기하지 않죠. 수능 점수를 고민하거나 인던 공대에 어떤 직업이 인기가 있는지를 고민하겠죠.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를 읽고 난 후에는 염세주의에 빠져들 것 같은 기분을 느꼈는데, 무라카미 류의 "69"를 읽고 난 후에는 당장 회사에 가서 혁명을 일으키고 싶은 충동을 느낍니다... 라고 하면 거짓말이고, 어쩐지 "말죽거리 잔혹사"를 봤을 때의 기분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위에 '...라고 하면 거짓말이고' 라는 표현은 "69" 에서 작가가 수백번 써먹는 표현입니다. 작가 본인이 이 소설만큼 유쾌하고 즐거운 소설을 다시 쓰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했는데, 그래서 그런지 저런 장난스러운 표현이 계속 반복됩니다. 처음에는 '썰렁하게 이게 뭐야?' 라는 느낌이었다가, '계속 나오니까 익숙해지네' 라는 느낌이었다가, '그래도 그렇지 너무 자주 나오잖아!' 라는 느낌이었다가, 결국은 아예 중독이 되어버렸습니다. 저도 한번 써먹어야지 생각했는데, 좀 후회가 되긴 하네요-_-;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를 감명깊게 읽은 후 일본 소설에 필이 꽂혀서, 하루키와 이름도 비슷하고 예전부터 한번쯤 읽어봐야지 생각했던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의 저자 무라카미 류의 "69"를 읽게 되었습니다.
처음에 읽기 시작할 때는 <중2병> 걸린 고등학생 들이 나와서 끝없는 허세를 보여주기에 '이게 대체 뭔?'이란 생각을 했었는데, 사건이 전개되어 "혁명"을 일으키고, 또 그 혁명이 "발각"되고, 다시 "페스티발"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이어지면서 흥미진진합니다.
예전 PC통신 하이텔 시절 유머란에서 글을 쓸 때, 평소에 "계"씨로 구설수에 오르는게 항상 피곤했던 저는 어디선가 주어들은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라는 문구가 마음에 들어서 <블루>를 필명으로 사용 했었죠. 그러면서 글 끝 마다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 라고 남기곤 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유머글 끝에다가 저런 문구를 남겨놨던 것 자체가 허세이고 중2병 같은 행동이란 생각이 드네요. 그런 의미에서 허세가 넘쳐나는 "69" 의 작가 무라카미류와 저는 특별한 인연이 있는 듯 합니다.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소설 "한없이 투명에 가까운 블루"가 상당히 야한 소설이라는 점이죠. 일본 소설이 기본적으로 좀 야한 것 같아요. 선진국의 문화는 이래서 좋은 것 같습니다. 후...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가 하루키의 자전적인 소설이라면, "69"는 무라카미 류의 자전적인 소설입니다. 등장인물 대부분이 다 실존 인물이고, 사건들도 대부분 실제 사건이라고 하네요. 그 허세가 다 실제였다니(부왁!) 몹시 피곤한 기분이 듭니다.
그렇지만 소설을 읽으면서 그래도 그 때는 고등학생들도 <허세>로 보일지언정 뭔가 철학이 있거나, 철학은 아니더라도 그런(이상 같은) 것을 추구하거나 열망하거나 아니면 하다못해 의미있게 봐주는 그런 경향이 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의 시대는 돈이 중요하고, 그게 아니면 연예계 소식이 중요한 시대가 된 것 같습니다. 어떤 고등학생도 <혁명>이니 <철학>이니 <문학>이니 이런 것을 얘기하지 않죠. 수능 점수를 고민하거나 인던 공대에 어떤 직업이 인기가 있는지를 고민하겠죠.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를 읽고 난 후에는 염세주의에 빠져들 것 같은 기분을 느꼈는데, 무라카미 류의 "69"를 읽고 난 후에는 당장 회사에 가서 혁명을 일으키고 싶은 충동을 느낍니다... 라고 하면 거짓말이고, 어쩐지 "말죽거리 잔혹사"를 봤을 때의 기분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위에 '...라고 하면 거짓말이고' 라는 표현은 "69" 에서 작가가 수백번 써먹는 표현입니다. 작가 본인이 이 소설만큼 유쾌하고 즐거운 소설을 다시 쓰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했는데, 그래서 그런지 저런 장난스러운 표현이 계속 반복됩니다. 처음에는 '썰렁하게 이게 뭐야?' 라는 느낌이었다가, '계속 나오니까 익숙해지네' 라는 느낌이었다가, '그래도 그렇지 너무 자주 나오잖아!' 라는 느낌이었다가, 결국은 아예 중독이 되어버렸습니다. 저도 한번 써먹어야지 생각했는데, 좀 후회가 되긴 하네요-_-;
'만화/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욤 뮈소 (0) | 2012.11.28 |
---|---|
베르나르 베르베르 (2) | 2011.08.28 |
당신은 읽었나, 판타지 소설 300선! (0) | 2011.07.08 |
뉴욕의 프로그래머 (12) | 2009.01.18 |
벼랑 위의 포뇨 (崖の上のポニョ, 2008) ★★★★ (12) | 2009.01.16 |
2011. 8. 4. 16:36
[IT]
얼마전 갑자기 찾아온 슬럼프를 극복하지 못하고, 미친듯이 판타지 소설을 읽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여전히 슬럼프에서 벗어난 것은 아니지만 판타지 소설 읽는 것은 중단 상태인데요, 그 이유는 "눈이 터질 것 같아서" 입니다. 정말 표현 그대로 눈이 터질 것 같았습니다. 그럴수밖에 없던 것이 70여권도 넘는 판타지 소설을 아몰레드 화면의 "갤럭시S" 로 봤거든요. 장님이 되지 않은 것이 다행입니다.-_-;
LCD 나 아몰레드는 절대 책을 보기 적합한 매체가 아닙니다. 제가 확실하게 확인했습니다. 눈의 피로도가 정말 상상을 초월합니다. 아주 잠깐 보는 정도면 모를까, 본격적으로 책을 볼 생각이라면 저 같은 행동은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눈이 터져요...
어쨌든 그렇게 포기한 찰나에 알게 된 것이 바로 전자책(eBook) 이었습니다. 평생에 걸쳐 어떤 물건에 빠진 것은 (기억나는 범위 내에서) 총 3번인데, 프로젝터와 스마트폰과 전자책 이렇게 3가지입니다.
특히, 전자책의 경우에는 다른 기기에 비해 가격이 그렇게 높지 않기 때문에 (킨들3 광고버진이 118$) 프로젝터나 스마트폰 때보다 훨씬 조급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여러가지 우여곡절(-_-) 끝에 아이리버 스토리W 를 "떨이"로 행사하는 것을 알게되서 구매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케이스와 북 캐시 9만원을 포함해서 기기를 9만 6천원에 판매했습니다. 즉, 원했던 책을 9만원어치 산다고 생각하면 케이스 값, 운송료 빼고 기기값 0 원에 가까운 값으로 받은 셈이죠. 그런 것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최근의 아이패드나 갤럭시 탭 같은 제품에 비하면 9만 6천원짜리 기기는 굉장히 고가의 제품은 아니기에 정말 만족스러웠습니다.
그리고 주문한지 이틀만인 오늘 물건을 받았습니다.
사진으로 봤던 것 보다 더 예쁜 점이 만족스러웠고, 포장도 센스있게 괜찮네요.
기대했던 e잉크는 기대 이상으로 훌륭합니다. 그냥 종이책을 보는 느낌이라 눈의 피로도가 전혀 없네요. (물론 일반 책을 보는 정도의 눈의 피로도야 있겠습니다만)
책 외에 다른 기능(mp3... 이걸 쓸 일은 없겠죠;;) 중에서는 만화책도 기대했던 것 보다 더 좋네요. 눈의 편한함에서 별 5개를 주고 싶은 마음입니다. 그렇지만, 만화책의 경우에 문제는 책보다 빠른 화면 전환이 필요한데, e잉크의 특성상 깜빡임이 있어서 멀미가 납니다. 익숙해지면 모르겠으나 깜빡임 때문에 만화책을 보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은 좀 무리가 아닐까 싶네요. 추후 e잉크의 깜빡임 현상이 극복되면 책/만화책 보는 기기로는 이보다 좋을 수가 없겠네요. (덤으로 반응 속도도 좀 빨라지면 좋겠구요)
어쨌든 이제 눈의 피로 없이 책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보려고 생각한 책이 수백, 수천권인데... 행복하네요 ^^
LCD 나 아몰레드는 절대 책을 보기 적합한 매체가 아닙니다. 제가 확실하게 확인했습니다. 눈의 피로도가 정말 상상을 초월합니다. 아주 잠깐 보는 정도면 모를까, 본격적으로 책을 볼 생각이라면 저 같은 행동은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눈이 터져요...
어쨌든 그렇게 포기한 찰나에 알게 된 것이 바로 전자책(eBook) 이었습니다. 평생에 걸쳐 어떤 물건에 빠진 것은 (기억나는 범위 내에서) 총 3번인데, 프로젝터와 스마트폰과 전자책 이렇게 3가지입니다.
특히, 전자책의 경우에는 다른 기기에 비해 가격이 그렇게 높지 않기 때문에 (킨들3 광고버진이 118$) 프로젝터나 스마트폰 때보다 훨씬 조급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여러가지 우여곡절(-_-) 끝에 아이리버 스토리W 를 "떨이"로 행사하는 것을 알게되서 구매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케이스와 북 캐시 9만원을 포함해서 기기를 9만 6천원에 판매했습니다. 즉, 원했던 책을 9만원어치 산다고 생각하면 케이스 값, 운송료 빼고 기기값 0 원에 가까운 값으로 받은 셈이죠. 그런 것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최근의 아이패드나 갤럭시 탭 같은 제품에 비하면 9만 6천원짜리 기기는 굉장히 고가의 제품은 아니기에 정말 만족스러웠습니다.
그리고 주문한지 이틀만인 오늘 물건을 받았습니다.
사진으로 봤던 것 보다 더 예쁜 점이 만족스러웠고, 포장도 센스있게 괜찮네요.
기대했던 e잉크는 기대 이상으로 훌륭합니다. 그냥 종이책을 보는 느낌이라 눈의 피로도가 전혀 없네요. (물론 일반 책을 보는 정도의 눈의 피로도야 있겠습니다만)
책 외에 다른 기능(mp3... 이걸 쓸 일은 없겠죠;;) 중에서는 만화책도 기대했던 것 보다 더 좋네요. 눈의 편한함에서 별 5개를 주고 싶은 마음입니다. 그렇지만, 만화책의 경우에 문제는 책보다 빠른 화면 전환이 필요한데, e잉크의 특성상 깜빡임이 있어서 멀미가 납니다. 익숙해지면 모르겠으나 깜빡임 때문에 만화책을 보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은 좀 무리가 아닐까 싶네요. 추후 e잉크의 깜빡임 현상이 극복되면 책/만화책 보는 기기로는 이보다 좋을 수가 없겠네요. (덤으로 반응 속도도 좀 빨라지면 좋겠구요)
어쨌든 이제 눈의 피로 없이 책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보려고 생각한 책이 수백, 수천권인데... 행복하네요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쉬운 아이리버탭 (10) | 2011.12.05 |
---|---|
스카이 베가(VEGA) 사용기, 장단점 (1) | 2011.12.05 |
TIMU 스윙 허브 (2) | 2011.07.07 |
AMD의 새로운 CPU 라노 (0) | 2011.07.07 |
맥북에어 (2) | 2011.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