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321)
free (36)
영화 (85)
드라마 (21)
게임 (28)
만화/책 (34)
개발 (46)
IT (68)
연예 (3)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TETRIS
rss
2006. 4. 1. 00:24

"역전에 산다"


제목  :  역전에 산다
감독  :  박용운   
배우  :  김승우, 하지원, 강성진, 이문식, 고호경  
시간  :  110분
개봉일 : 2003-06-13  




  
  저는 전문적인 영화 평론가도 아니고, 리뷰어도 아닙니다. 그래서인지 영화 감상이
나 리뷰를 쓰다보면, 객관적인 시각보다는 주관적으로 아주 치우친 글을 쓰기가 쉽습
니다. 특히, 영화가 마음에 들면 별로 단점이 눈에 보이지 않고, 단점이 크면 장점을
거의 발견하지 못합니다.

  역전에 산다의 경우에는 좋은쪽 이미지가 너무나 강한 영화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제가 프로젝터를 구입해서 밤에 처음으로 본 영화이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어떤 영화를 봤어도 벅차오르는 감동을 억누를 수 없었겠지만, 이 영화는 단
지 그것 뿐인 영화는 절대 아닙니다.

  특별한 의미는 없겠지만, 90인치라는 대형 화면에서 보는 첫 영화는 '반지의 제왕'
'글레디에이터'급은 되는 영화를 보려고 생각했었습니다.  뭐, 나름대로의 의미 부여
라고나 할까요?

  그런데, 이것저것 설치하고 새벽 1시쯤 됐을 때 그런 길고 부담스러운 (글레디에이
터가 액션이기는 하지만 결코 가볍게 볼 영화는 아니라서)  영화를 보기에는 너무 피
곤해진 상태였습니다. 다음날 출근도 있고 말이죠. 그래서 고르다보니, 가볍게 볼 수 
있는 '코믹' 쟝르인 [역전에 산다]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생각해보면 [오, 해피데이]를 선택하지 않은게 얼마나 다행인지 모릅니다.-_-;;

  하지만, 단순히 코믹이라서 고른 것은 아닙니다. 로또 같은 '역전 인생'에 대한 스
토리라는 것, 제가 꽤 좋아하게 된 하지원이 나온다는 것,  그리고 네티즌의 영화 평
가가 의외로 꽤 좋다는 것이 이 영화를 첫 영화로 선택하게 한 이유입니다.



  압권인 김승우 머리스타일(...)         의외의 수확 고호경 (나름대로 도발적)


  이 영화의 감상 글에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은 '칵테일 인생' 이나 '패미리 맨' 같
은 다른 비슷한 영화의 표절 또는 패러디에 대한 얘기들인데, 그런 소재는 사실 그렇
게 독특한 것이 아니라 별로 배꼈다는 느낌은 없습니다. 설정은 좀 따라했을 수도 있
겠지만 영화의 진행은 지극히 한국적(?)인 느낌 그대로입니다.

  패미리 맨과 어찌보면 꽤나 흡사한 스토리 전개지만,  패미리 맨의 경우 잘 나가던
니콜라스 케이지가 형편없는 상황으로 추락하고 대신에 사랑을 찾는다는 설정이라면,
역전에 산다는 인생이 모조리 불만스럽고 참담하던 김승우가  잘 나가는 상황으로 바
뀌어 그쪽의 실패한 사랑을 회복한다라는 설정입니다.  설정은 매우 흡사하지만 풀어
나가는 방법은 완전히 다른 영화죠.



  하지원을 만난 것 만으로도 인생 역전 성공!! 축하해요~


  김승우의 연기는 아주 좋았습니다. 이런 연기가 꽤 잘 어울리는 군요. 예전에 김승
우의 연기는 '신데렐라'였나요? MBC 의 드라마에서 10여분 잠깐 본 것이 전부라 굉장
히 느끼한 느낌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영화 한편으로 기름 쫙 빠진 전기구이 통닥처
럼 신선한 이미지로 바뀌었습니다.  마치, 캐치 미 이프 유 캔에서 '레오나르도 디카
프리오'의 이미지가 완전히 바뀐 것과 비슷하군요.



  기름끼가 쫙 빠진 김승우와 기름끼가 철철 넘치는 강성진


  김승우는 이 영화에서 지극히 세상이 밉고, 짜증나고, 재수없는 한탄스러운 인생의
모습 그대로입니다. 되는 일은 없고, 나중에는 빚 때문에 목숨까지 위험한 상황이 되
기도 합니다. 

  그런데, 인생이 바뀝니다. 



  이렇게 바뀝니다.-_-;;; 오른쪽의 좋아하는 표정 보시게나-_-;


  어렸을 때 포기했던 골프를 계속해서, 골프 선수로 대 성공을 한 인생으로 바뀐 것
이죠. (이 정도는 스포일러가 아니니까 급하게 창 닫지 않고 읽으셔도 됩니다 ;;)


  간단히 이런 과정인데, 정말 재미있게 봤습니다.

  물론, 인생극장이나 특집 드라마로 만들 수 있는 정도이긴 하지만,  괜찮은 소재를
이용해서 영화를 재미있고 억지스럽지 않게 진행하는 감독의 역량과 배우들의 연기는
칭찬해주고 싶습니다.


  이 영화가 무엇보다 즐거웠던 이유는 하지원이 아주 예쁘게 나온다는 겁니다. 언제
부터인가 하지원이 점점 마음에 들기 시작하더니, 한국에서 가장 좋아하는 여자 배우
가 되었습니다. 색즉시공에서 좋아졌는데, 역전의 산다로 굳히기에 들어갔습니다. 추
후에 [다모]까지 보게되면 광팬이 되지 않을까 생각되는군요.



  인간적으로 너무 예쁘잖아;;;


  어쨌든 예쁜 하지원을 마음것 볼 수 있었다는 것이  즐거운 마음을 더욱 기쁘게 해
준 가장 큰 요인이었습니다.  생각 같아서는 영화를 한 번 더 보고 싶은 생각까지 있
습니다. (병이죠...;;)

  역전에 산다는 조연들의 연기도 좋습니다. 워낙 검증된 조연들이라... :)



  출연만으로 분위기를 살려주는 임창정


  마음 같아서는 안보신 분들 '강력 추천이니까 꼭 보세요'하고 싶지만, 실제로 영화
의 흥행 성적을 보면 저만 좋아하는게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듭니다.  게다가 호평이라
고는 해도 몇 안되는 감상문을 보면 이상할 정도로 인기가 없는게 아닌가 싶네요. 악
평이란 악평은 다 듣고 있는 '조폭 마누라 2'도 이것보다 게시물이 많은데 말이죠. 

  어쨌든 저에게는 유쾌한 영화였습니다.

  인생 역전을 꿈꾸는 분들 큰 기대는 하지 말고 부담없이(!) 보세요.


2006. 3. 31. 00:45

제게는 몇가지 꾸준하게 보는 드라마가 있습니다.
24시(5시즌 방영중), 앨리어스(5시즌 방영중), 스몰빌(5시즌 방영중), 로스트(2시즌 방영중), 하우스(2시즌 방영중), CSI (라스베가스 6시즌 방영중), 베틀스타 갤러티카(2시즌 방영중), 몽크 (4시즌 방영중), 베로니카 마스(2시즌 방영중) 등등 이것 말고도 많은데... (음, '몇가지'가 아니군요;;;) 일단, '방영중'인 드라마는 완결될 때까지 참고 있습니다.

그래서 잠시 드라마 관람을 쉬던 중 지인의 추천으로 4400 이라는 드라마를 보게 됐습니다.

4400 은 드라마 제목입니다.

여러가지 시대에서 사람들이 실종되더니 어느 한 시점(현재)에 한꺼번에 귀환을 합니다. 그 인원이 바로 4400 인거죠.

X-Files 같은 느낌도 있고, 로스트 같은 느낌도 있는데 제목의 단순함과 달리 내용은 정말 스피디하고 흡입력이 강합니다. 로스트나 24시를 처음 볼 때의 빨려드는 느낌이 4400 에도 존재합니다.

보통은 1시즌 혹은 전 시즌을 다 관람하고 감상을 쓰는데, 4400 의 경우에는 딱 1편만 보고도 느낌이 좋아서글을 남깁니다.

1시즌이 단 5편 뿐이라는 것과 2시즌은 아직 진행중이라는 것. 그리고 4400명의 얘기를 하려면 프렌즈 이상으로 장편이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앞선다는 것등 몇 가지 부분을 제외하면 굉장히 만족스럽습니다. 무엇보다 재미가 있어요. 위에서 언급한 드라마를 다 보고, 볼게 없어서 미치기 직전이셨던 분들 보세요. 추천합니다.

'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인마 잡는 연쇄 살인마 덱스터. 2시즌 완결  (12) 2007.12.10
아빠와 딸의 7일간  (9) 2007.12.09
라이어 게임  (6) 2007.12.05
커피프린스 1호점  (8) 2007.11.11
드래곤 사쿠라 (2005) ★★★★  (7) 2006.03.30
2006. 3. 31. 00:24

"오, 해피데이!"


제목  :  오, 해피데이!
감독  :  윤학열
출연  :  장나라, 박정철
시간  :  96분
개봉일 : 2003-04-18




  포스터부터 심상치가 않다.-_-; 우측 포스터를 봤으면 영화를 안봤을지도...;;


  저는 특히 망가지는 것을 즐기는 (망가지는 것에 몸을 사리지 않는) 배우들을 좋아
하기에, 장나라가 정도 이상으로 망가지는 연기를 보여준다는 [오, 해피데이]에 많은 
기대를 했었습니다.



  기대 이상으로 심하게 망가진 장나라 (부제 : 추잡한 장나라;;)


  게다가 장나라는 제가 상당히 좋아하는 여자 배우 중의 한명입니다. 지금은 생각이
좀 달라졌지만 예전에는 임은경과 함께 향후 기대되는 여자 배우로 뽑았었습니다. 그
독특한 외모(나름대로 귀엽다고 생각함;;)와 코믹한 이미지를 높이 샀지요. 



  웨딩 드레스를 입었을 때 코믹한 여배우는 '매우' 드물다;;;


  TV 를 전혀 안보는 저는 장나라의 가수의 모습이나,  논스톱에서의 귀여운 연기 같
은 것은 알지 못합니다. 제가 장나라를 관심있게 보게 된 것은 여러가지 CF 때문이었
죠. 특히 Bigi 같은 광고나 교복 선전 광고에서 꽤 마음에 들었습니다. 그 후로 명랑
소녀 성공기라는 드라마에서 떴다고는 하는데 이것도 역시 직접 보지는 못했습니다. 
어쨌든 많이 접하지 않고도 장나라에 대한 이미지는 극도로 좋았습니다.



  귀엽다 귀여워 ^_^


  그런데, 이 영화 한편으로 장나라의 모든 좋던 이미지가 다 사라졌습니다.-_-;

  영화는 2003년 최악의 한국 영화 중 1순위로 부족함이 없습니다. 그 어설픈 스토리
는 물론이고 억지스러운 전개와 주연,조연을 가릴 것 없이 오버하는 연기는 관람하는 
저를 너무나 부담스럽게 만들었습니다. 




  오버하는 장나라 / 오버하는 조연들 (오버에 비해 너무나 비중없는 조연들)


  감독은 오로지 장나라의 오버, 코믹 연기에 모든것을 맡기고  억지스럽게 스토리를 
끌어갑니다. 조연들은 개성이 없으며, 어설픈 연기도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장나라의
상대역으로 나온 박정철은 역시나 매력이 없고, 장나라가 빠지는 이유도 설명이 부족
합니다.  물론, 사랑에 설명이 가능하냐고 묻는다면 할 말이 없고, 또 설명이 필요한
영화냐고 묻는다면 역시 할 말이 없지만, 저로써는 납득이 안간단 말입니다! (버럭)



  남자가 조승우나 조인성이면 내가 이해를 한다.-_-;


  영화는... 마치 짧은 시트콤 한편을 보는 것 같습니다. (허탈)

  계속되는 장나라의 기대 이상의 오버에 질려버리고 말았습니다.  장나라를 매우 좋
아하는 제가 이렇게 지쳤을 정도라면, 아무 생각없이 재미있는 코믹 영화를 즐기려고
7000 원 이상을 내고 극장에 들어갔던 분들이라면 장나라 안티가 되어 나오지 않았을
까 심히 우려됩니다.  최근 아버지의 지나친 간섭으로 안티 팬이 많이 생긴 장나라를
생각해보면 이 영화가 끼칠 부정적인 영향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군요-_-;

  다행이도 전 DVD 로 보았습니다만, 돈 보다도 시간이 매우 아까웠습니다. (;;;)

  솔직히 이런 생각도 했었죠.

  '영화는 정말 정말 정말 재미 없어도 괜찮다. 단지 장나라의 애교 쇼를 2시간 가량
볼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 만족한다' 라는 다소 대범한(;;)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이 영화는 장나라를 애교를 보는 즐거움 보다는 장나라의 부담스러운 오버
를 봐야 하는 부담감만을 주고 말았습니다.   비슷한 영화로 임은경의 신비한 모습을
보며 기쁨을 찾으려다가 신비감마저 다 잃어버리게 만드는 [성냥팔이 소녀의 재앙]이
있습니다만, 양쪽 다 배우에게는 매우 치욕적인 영화로 남을 것 같습니다. 

  그래도, 가끔... 아주 가끔은 장나라의 오버 코믹이 웃기기도 합니다. 도저히 상상
할 수 없는 경지를 벗어났다고 할까요?  역치의 한계를 넘어서 '기가막힌 웃음'을 선
사하는 놀라운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_-;



  이 장면에 속은 사람 많을 듯-_-;


  장나라의 팬에게까지 추천하기 어려운 영화. 

  조금도 해피하지 않은 영화.

  오, 해피데이.